Study/코딩테스트

* 이 게시글은 이지스 퍼블리싱의 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시간 복잡도 :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산 횟수. 시간 복잡도 정의하기 시간 복잡도를 정의하는 3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. 빅-오메가 : 최선일 때 (best case)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빅-세타 : 보통일 때 (average case)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빅-오 : 최악일 때 (worst case)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1~100 사이의 무작위값을 찾아 출력하는 코드를 수행할 때, 빅 오메가의 시간 복잡도 : 1 빅 세타의 시간 복잡도 : 2/N 빅-오의 시간 복잡도 : N 실제 코딩 테스트에서는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를 수행하여 모든 케이스를 통과해야만 합격하기에 항상 최악일 때를 염두해야 한다. 즉, 빅-..
우당탕탕코린이
'Study/코딩테스트' 카테고리의 글 목록